♣ 좌이산(佐耳山)
☞ 경남 고성에는 도립공원인 연화산(524m)을 필두로 거류산(572m), 구절산(559m), 무량 산(583m),
무이산(546m), 수태산(574m), 향로봉(578m) 등 500m대의 이름난 산이 여럿 있다. 대체로 평범한
산세지만 이 가운데는 향로봉처럼 운흥사, 천진암 같은 고찰을 품은 산도 있고 바다에서 멀지 않은
곳이라 500m대라고 해도 내륙의 700~800m급 산 이상 가는 땀을 흘려야 한다. 이런 가운데 400m대
초반의 높지 않은 산이면서도 바다에 가까워 기막힌 조망을 선사하는 산이 고성에 있다.
고성군 하일면의 좌이산(左耳山·416m)은 고성의 서남쪽 바닷가로 동쪽으로 자란만을 바로 내려다보는
위치에 있다. 정남쪽으로 통영 사량도를 바라보는 좌이산 정상에는 봉수대가 설치돼 있다. 바위 봉우리인
정상 봉수대에서는 동쪽으로는 거제도, 서쪽으로는 사천 와룡산과 남해도, 창선도가 손에 잡힐 듯하고
남쪽으로는 사량도 지리산이 정면에 보인다.좌이산의 이름은 한자 풀이대로 용의 왼쪽 귀를 의미한다.
그런데 이 용이 어떤 용이냐는 것은 딱 부러지게 말하기가 어렵다. 사천 와룡산 정상에서 남쪽으로 바다를
바라보면 산줄기가 뻗어 나간 왼쪽 끝에 있어 사천 와룡산의 왼쪽 귀라고 흔히 말한다. 하지만 좌이산 정상에서
북쪽에 있는 고성 향로봉에서 봤을 때 왼쪽 귀라고 하기도 한다. 고성 향로봉 아래 하이면 와룡리에서는 사천의
와룡산에 빗대 고성 향로봉을 고성 와룡산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와룡산의 한줄기로 봐서 와룡산 향로봉이라고
부르기도한다.
고성군 천하제일면에 소재한 높이 392m의 좌이산(佐耳山)은 향로봉의 남릉이 자란만으로 흘러내리면서
바다옆으로 단봉을 이루고 있는 아담한 산역이 좌이산이다. 산자락이 도로로 둘러싸여 산역을 확실히 구별시키며
두개의 산봉이 정상을 알려주는 것 이외는 별다른 특색이 없는 전형적인 육산의 형태를 띄고 있다. 그러나 정상에
올라서 주위의 경관을 음미하며 한려수도의 고성만, 자란만을 바라보는 재미는 더할 나위가 없으며 사량도의
옥녀봉 암릉이 남쪽으로 막아서면서 마치 떠있는 수석처럼 산객을 황홀경에 빠지게 한다.
고성군 하일면 송천리 산 52-1번지 상봉 정상에 있는 좌이산 봉수지(左耳山 烽燧址)는 우산봉수대(현 통영시
도산면 봉화산)에서 보내는 봉화를 받아 삼천포각산으로 보내는 동시 주봉인 사량진(蛇梁鎭)봉수대로 보내는
한편 소을비포(所乙非浦) 진영에도 보내는 망대 역할을 한 봉수지로, 1994년 7월 4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138호로
지정되었다.
고성읍으로부터 약 30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며 현재 남아 있는 석축은 36m이고 둥근 석축 안에 화덕 자리와
막사 자리의 흔적이 남아 있다. 조선 초기에 설치되었으며 남해안에 위치한 간봉의 하나로서 '거제 가라산',
'통영 미륵산', '통영 우산', '통영 사량진', '삼천포 각산'으로 연결되는 중간지점에 있다. 당시에는 오장 2명과
봉수군 10여명이 교대로 근무하였다고 한다.
좌이산을 한자로는 도울 '佐'에 귀 '耳' 를 겹쳐서 '좌이'라고 쓰는 것이 사뭇 절묘하다. 귀를 도움은 듣기를 돕는 것,
해서 노상 쫑긋거리고 삼삼히 열린 귀가 여기 있으니, 이로써 산과 마을과 그리고 사람들이 두루 다이순(耳順)의
마음을 누린다는 뜻이라 한다
솔섬.
기차바위가 자리 잡고 있는 하일면 송천마을 해안에는 섬에 소나무가 많이 있다고 해 이름 붙여진솔섬이 있다.
솔섬은 본섬과 바로 곁에 거북이 모양을 하고 있는 작은 솔섬으로 나눠져 있으며, 이곳에는 300여m에 이르는
탐방데크가 설치되어 있어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의 접근성을 돕고 주변경관과 조화를 잘 이루고 있다.
솔섬이 여느 일반 도서에 비해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기차바위 등 자연이 선물한 아주 특별함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주민들에게 기차바위로 불리는 이 바위는 억겁의 세월 동안 수많은 태풍을 견뎌내며 일부유실되기는 했지만 마치
성벽과 같이 솔섬 해안변을 따라 약 2m 높이로 수백여 미터 연결되어 있어 언뜻 보면 인위적으로 세워 놓은듯 하기도
하다. 이 희귀한 바위는 오래 전 용암이 분출되면서 지각이 융기하여 형성된 것으로 솔섬 퇴적암으로 형성돼 있는데
반해 이 바위는 단단한 암질로 구성되어 있어 수십 차례 태풍에도 그 형태를 일부 유지하고 있으며, 솔섬에서 수십
미터 떨어져 있는 바다 가운데 장군여까지 연결되어 있다. 솔섬 주변을 걷다보면 주민들에게 큰방, 작은방이라 불리는
널따란 공간이 눈에 들어온다. 이곳은 높이 5m의 암벽이 좌우에 자리 잡고 있으며 바닥엔 청석(靑石)이 넓게 펼쳐져
있어 물이 들 때면 잠겨 있다가 물이 나면 자란만 청정바다와 어우러져 자연의 신비감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수십 년 전까지만 해도 마을주민들이 이곳에서 주흥과 피서를 즐기는 놀이공간으로 이용했다고 한다.
▼ 확대 클릭하여 참고하시기를....
'산행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합천군 악견산, 허굴산. (0) | 2015.02.04 |
---|---|
강원도 평창 계방산. (0) | 2015.01.27 |
월악산 국립공원. (0) | 2014.09.01 |
전남 곡성 동악산. (0) | 2014.07.10 |
영남 알프스. (0) | 2014.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