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소백산 자락길 6코스를 다녀와서.......

산이좋아 그저 산이좋아 2019. 10. 23. 23:06

일시: 2019년 10월 20일(셋째주 일요일)                     날씨: 맑음

산행지: 충북 단양군 소백산 자락길 6코스(6자락길)

산행코스: 보발재(고드너머재)☞ 자락길 화장실☞ 온달평강 로맨스길 안내판☞ 소나무숲 쉼터

              ☞ 방터 갈림길☞ 이정표(갈림길)☞ 온달산성☞ 정자쉼터☞ 온달관광지(사극셋트장)

산행시간: 3시간 30분, 약 11km(중식 및 휴식시간 포함)






 소백산자락길


소백산자락길은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문화생태탐방로’로 가장 먼저 이름을 올렸고, 2011년

 ‘한국관광의 별’로 등극되었다. 영남의 진산이라 불리는 소백산자락을 한 바퀴 감아 도는 은 전체 길이가

143km(360리)에 이른다. 모두 열 두 자락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락은 평균 거리가 12km(30리)

내외여서 약 3~4시간이 소요되므로 하루에 한 자락씩 쉬엄쉬엄 걸을 수 있어 리듬이 느껴진다.
더구나 열 두 자락 모두 미세한 문화적인 경계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자세히 살펴보면 자락마다의 특징이

발견되어 색다름 느낌의 체험장이 될 수 있다. 2009년 1,2,3자락이, 2010년 4,5,6,7자락이, 그리고

2011년, 2012년에 8,9,10,11,12자락이 완성되어 전국의 자락꾼들을 불러 모우고 있다. 특정 구간은

이미 포화상태에 들어섰다는 지적과 함께 <예약제>로 탐방객을 통제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소백산자락길은 경북 영주시, 봉화군, 충북 단양군, 강원도 영월군의 3도 4개시·군에 걸쳐져 있다. 

올망졸망한 마을 앞을 지나기도 하고, 빨갛게 달린 과수원 안길로 안내되는 가하면, 잘 보존된 국립공원
구간을 통과하기도 하여 아기자기하므로 대부분 따가운 햇볕에 노출되는 다른 곳의 걷는 길과는 차별된다.
특히, 국립공원 구역이 많아 원시상태가 잘 보존되어 숲의 터널에서 삶의 허기를 치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돌돌 구르는 시냇물과 동행할 수 있어 신선하다. 국망봉, 비로봉, 연화봉, 도솔봉 등의

봉우리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소백산자락은 명산에 걸맞게 대찰을 품고 있는 불교문화 유적의 대표적인
곳 중의 하나에 속해 있어 부석사를 위시한 성혈사, 초암사, 비로사, 희방사, 구인사 등등의 불교유적지
탐방의 재미도 쏠쏠하다. 3도 접경 행정구역을 달리한 생활문화의 특징까지 감상할 수 있음은 보너스이다.





[소백산자락길 지도] 소백산자락길 1자락 : 선비길, 구곡길, 달밭길

소수서원-금성단-죽계구곡-초암사-달밭골-비로사-삼가리(총 12.6km, 4시간 30분 소요)
설명 : 유교문화의 중심인 소수서원, 선비촌 및 순흥향교가 있으며, 성리학의 대가인 퇴계이황선생의

소백산 기행문과 안축선생의 죽계별곡으로 유명하다, 비로사 등 전통사찰과 달밭골 등 화전민 부락이

있던 곳으로 지금도 산촌 독가촌이 있으며, 일부 구간은 국립공원 탐방금지 구역에서 2010년 해제되었으며,

자연환경이 잘 보존된 곳이다.
[차편] 소수서원 : 영주시내버스터미널 27번 06:50~19:00 14회/1일,
배점마을 : 시내버스터미널 53번 06:20~18:50 5회/1일
삼 가 동 : 시내버스터미널 26번 06:10~18:00 8회/1일



[소백산자락길 지도] 2자락 : 학교길, 승지길, 방천길
삼가주차장-금계호-금선정-정감록촌-풍기소방서-풍기온천- 소백산역 (15.6km, 4시간 20분 소요)
풍기읍 금계리는 정감록의 십승지중 제1승지이다.
금선정, 금계호, 풍기온천이 있으며, 풍기인삼, 영주한우, 풍기인견 등 지역특산물이 많고, 소백산자락길

탐방로 중 유일하게 기차역이 통과하는 코스로 열차를 이용한 탐방객이 탐방하기 좋은 곳이다.
[버스] 삼가동 : 영주시내버스터미널 26번 06:10~18:00 8회/1일
소백산역(희방사행 중간하차) : 시내버스터미널 25번 06:20~18:30 13회/1일
풍기온천 : 시내버스터미널 27번 06:20~19:35 20회/1일



[소백산자락길 지도] 3자락 : 죽령옛길, 용부원길, 장림말길
소백산역 - 죽령옛길 - 죽령마루 - 용부원리 - 대강면 (11.4km, 3시간 20분 소요)
죽령은 한양으로 향하던 영남 3대 관문 중 하나이다. 이 고개길은 과거길 설비, 낙향하는 관료, 보부상들의

흔적을 만날 수 있다. 아흔아홉구비 죽령고개에는 그 많은 굽이 굽이 마다 서민들의 애환이 서린 전설이

묻어 있으며, 희방계곡, 희방폭포, 죽령폭포 등 자연경관이 뛰어나다.
> 소백산역(희방사행 중간 하차) 영주시내버스터미널 25번 버스 06:20~18:30 3회/1일



[소백산자락길 지도] 4자락 : 가리점마을옛길
당동리 - 문안골 - 마조리 - 금곡교 - 기촌리(금곡초) (11.7km, 3시간 소요)
고수, 노동, 마조지역 등 옛 단양사람들이 이 옛길을 이용하여 죽령을 넘어 영주장을 보러 다닌 옛길이다.

농촌풍광을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며, 당이재 길은 마조지역 주민과 수촌지역 주민이 서로 왕래하던 길로

훼손되지 않고 원시적으로 남아 있어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다.
> 대중교통 : 단양버스터미널 - 고수대교 - 대강방면 시내버스 탑승 당동리 대강초교 앞 하차
06
:40~17:05 4회/1일



[소백산자락길 지도] 5자락 : 황금구만량길
기촌리 - 매남치 - 대대리(대곡초) - 구만동 - 보발분교 - 보발재 (15.8km, 3시간 55분 소요)
전국적으로 유명한 농촌체험마을, 한드미마을을 돌아오는 황금구만량길은 구만동의 황금설화가 남아 있는

길로써 소백산의 당당한 위엄을 보며 걸을 수 있는 옛길이다. 16km의 이 길은 재미있는 설화가 여행자의

발자취를 따라오며 즐거운 여행길을 선물한다.
>대중교통 : 단양버스터미널 기촌리행 버스 07:10~20:00 12회/1일



[소백산자락길 지도] 소백산자락길 6자락 : "온달장군과 평강공주의 로맨스 길"입니다.
보발재 - 방터 - 온달산성 - 온달관광지 - 영춘면사무소 (13.8km, 3
시간 25분 소요)
남한 강면을 따라 산길을 걸의며 소백산 화전민의 삶을 엿 볼 수 있고 임산물 채취체험을 할 수 있으며,

온달장군과 평강공주의 사랑이야기가 전해오면서 붙여진 온달산성의 역사탐방과 온달관광지에 들러

세트장, 온달동굴, 전시관을 관람할 수 있다.
>대중교통 : 단양버스터미널 보발리행 06:45~15:55 4회/1일



[소백산자락길 지도] 소백산자락길 7자락 : 십승지 의풍옛길
영춘면사무소 - 동대리 - 의풍엣길입구 - 베틀재 - 의풍리 (18.2km, 4시간 20분)
영춘면사무소에서 느릎실과 동대리 마을을 지나 베틀재와 의풍리로 이어지는 길이다.
베틀재의 정상부분이 베틀의 도투마리에 해당한다고 베틀재라고 부르는 이곳은 고려시대 부터 소금을

운반하던 염로였고, 베틀재 아랫마을인 의풍리에는 정감록 십승지를 찾아 온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다.

세기의 풍운아 난곡 김삿갓의 이야기가 흥건히 넘쳐나는 길이며, 낭한강가에 깎아지른 석벽이 병풍처럼

늘어 서 있어 장관을 이룬다.
>대중교통 : 단양버스터미널 온달관광지행 06:40~20:30 7회/1일




[소백산자락길 지도] 소백산 자락길 8자락 : 접경길, 대궐길
의풍초 - 삼도접경공원 - 마흘천 - 현정사 - 남대분교 - 주막거리 (6.5km, 1시간 50분)
d열월군 김삿갓 묘역에서 단양군 의풍리, 영주시 남대리를 거쳐 봉화군 생달로 이어지는 8자락은 소백산

자락길 3도(경북,충북,강원) 4개시 군(영주,단양,영월,봉화)을 연결하는 삼도 화합길이며, 이 코스를 따라

역으로 흘러가는 남대천은 생태보전이 잘 되어 있을 뿐 아니라, 영남지방에서 한강으로 흐르는 유일한

강물이다.
* 대중교통 : 단양시내버스터미널 의풍행 06:00~17:00 3회/1일 (하차 의풍초등학교)



[소백산자락길 지도] 소백산 자락길 9자락 : 방물길. 보부상길
방물길 - 보부상길 - 주막거리 - 상신기마을 - 늦은맥이재 - 생달마을 - 오전댐 (7.2km, 2시간 5분)
보부상길과 방물길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옛날에 물자를 지고 운반하던 길이다. 주변의 자연환경이

좋고 송림과 계곡이 잘 조화된 아름다운 길이고 전형적인 농촌 마을을 잇는 정감있는 길이다.
<차편 : 없음>



[소백산자락길 지도] 소백산 자락길 10자락 : 쌈지길, 소풍길
오전댐 - 뒷뜰장터 - 봉화학예관 - 죽터 - 땅골 - 부석사 (7km, 1시간 50분)
풍기군수 주세붕선생이 극찬하고 문둥병을 고친다는 오전약수탕,
보부상과 화전민의 훈훈한 정이 담긴 생달마을 등 산골마을 체험을 할 수 있다.
대중교통 : 봉화버스터미널 오전약수터행 07:30~18:40 10회/1일 <하차 오전댐>



[소백산자락길 지도] 소백산 자락길 11자락 : 과수원길, 올망길, 수변길
부석사 - 속두들 - 소백산예술촌 - 숲실 - 사그레이 - 양지마
- 남절 - 모산 - 단산지 - 좌석(시거리) (13.8km, 3시간 45분)
이 구간은 부석사를 출발하여 숲실마을, 양지마을, 남절마을을 거쳐 좌석 시거리를 잇는 13.8km의 길이다.
이 길의 특징은 마을과 마을을 이어주는 길로 과수원 사이를 지날 수 있는 길이며 옛날 60~80년대 학생들이
부석의 중.고등학교로 통학하던 길이며 주민이 부석5일장을 보러 다니던 길이다. 이 길의 특징은 언덕에
올라서면 저 멀리 있는 부석사가 보였다가 내려가면 보이지 않고 하여 어쩌면 과거에 고행자들이 이 길을
걸으며 극락의 세계(부석사)를 염원하며 걷던 길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영주시내버스터미널 27번, 부석사행 55번 06:10~19:00 26회/1일



[소백산자락길 지도] 소백산 자락길 12자락 : 자재기길, 서낭당길, 배점실
좌석(시거리) - 자재기재 - 두레골(장안사) - 점마 - 덕현 - 재점 - 배점주차중(8.0km, 2시간 25분)
이 길은 단산저수지가 있는 시거리를 출발하여 자작재를 넘고 장안사를 거쳐 첫 번째 자락의 배점마을로
이어지는 총거리 8km의 길이다. 이 길의 특징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무형문화재급인 단종과 금성대군의
한이 서린 두레골 서낭당과 매년 정월 보름에 거행하는 서낭제를 볼 수 있는 길이다. 자작나무가 많아서
자작재라고 불리우는 고개와 심마니들이 잠시 머물던 산막터, 충신 배순이 운영하던 대장간 터를 볼 수 있다.
영주시내버스터미널 54번 좌석행 07:00~17:30 3회/1일
영주시내버스터미널 53번 덕현행 06:20~18:50 5회/1일
 



제 1자락길 안내

구간

별칭

코스안내

거리

볼거리

먹거리

쉴거리

첫자락

선비길

선비촌-순흥향교-송림호-배점분교(삼괴정)

3.8㎞

(55분)

소수서원(최초 사액서원)

금성단(금성대군 제단)

순흥향교

송림호(원앙서식지), 한스빌

배순정려비(대장장이 배충신)

삼괴정(쉼터와 마을서낭당)

선비촌(저자거리)

종가집(637-9981)

청다리옛집(633-4288)

순흥전통묵집(634-4164)

선비촌(638-7114)

선비체험학습관()

동인모텔(633-9605)

구곡길

배점분교(삼괴정)-죽계구곡-초암사

3.3㎞

(50분)

배점분교(폐교)

죽계구곡(신필하)

초암사와 삼층석탑

소백산장(632-6994)

터(632-6303)

초암골가든(634-2326)

구비도라(633-9956)

전통테마마을(633-1211)

달밭길

초암사-월전계곡-달밭골-송재-비로사-삼가주차장

5.5㎞

(75분)

계곡비경(월전계곡)

산촌마을, 산나물재배

움막(토굴), 움(저장고)

잣나무숲

산골민박(638-4824)

( )

소백산방(638-3829)

산골민박(638-4824)


구간

별칭

코스안내

거리

볼거리

먹거리

쉴거리

2자락

학교길

삼가주차장-삼가분교-금계호-펜션마을

3.7㎞

(55분)

삼가분교(폐교)

금계호 풍광

영전펜션마을

소백민박( )

산수방

소백민박( )

계곡민박( )

영전펜션마을( )

승지길

금계호-금선정-임실마을-풍기소방서

4.0㎞

(60분)

금선정(금계 황준량)

십승지(임실), 정감록촌

인삼밭(풍기특산물)

황토식당( )

서문가든(635-2415)

서부냉면(636-2457)

황토펜션( )

방천길

남원천(유다리)-방천길-소백산역

7.9㎞

(110)

풍기온천(유황온천)

비트로시스(생명공학)

찰방역터(남원천냇가)

무쇠다리터(수철동)

옛길민속식당( )

용바우산장( )

소백산불고기( )

온천숯불식당( )

풍기온천( )

소백산인삼시장( )


구간

별칭

코스안내

거리

볼거리

먹거리

쉴거리

3자락

죽령옛길

희방사역(소백산역)-느티쟁이주막터-주점터-죽령마루

2.8㎞

(40분)

터널(철도, 고속도로)

죽령(죽죽사당터,장승)

울창한 낙엽송림

야생화와 어름넝쿨

죽령주막( )

죽령휴게소( )

소백산역( )

희방옛길

용부원길

죽령마루-용부원리(버들마-보국사지-샛골-죽령분교-용부사-죽령터널

3.9㎞

(50분)

보국사지

환기굴뚝(환경인식)

죽령폭포

용부원마을 민박( )

장림말길

죽령터널-용부원리(매바우-음지마)-장림리-대강초교

4.7㎞

(80분)

죽령역

감매기식당(422-7378)

8 )


구간

별칭

코스안내

거리

볼거리

먹거리

쉴거리

4자락

가리점마을옛길

당동리-장현문안골-마조리-수촌미륵이-금곡교-기촌리(금곡초)

11.7㎞

(180)

중앙선 또아리굴

석회암지형(돌리네)

가리점마을

고향집두부421-0150

가리점마을농촌체험


구간

별칭

코스안내

거리

볼거리

먹거리

쉴거리

5자락

황금구만량길

기촌리-매남치-대대리(대곡초)-구만동-보발분교-고드너머재

15.8㎞

(235)

꼬두메마을

보발재(장엄한풍광)

보발분교


구간

별칭

코스안내

거리

볼거리

먹거리

쉴거리

6자락

온달평강로맨스길

고드너머재-방터-온달산성-온달관광지-영춘면사무소

13.8㎞

(205)

온달산성

온달동굴

온달국민관광지


구간

별칭

코스안내

거리

볼거리

먹거리

쉴거리

7자락

십승지의풍옛길

영춘면사무소-동대리-의풍옛길입구-베틀재-의풍리

18.2㎞

(270)

십승지마을 의풍

김삿갓묘(김삿갓공원)


구간

별칭

코스안내

거리

볼거리

먹거리

쉴거리

8자락

접경길

의풍초-삼도접경공원-마흘천

2㎞

(30분)

의풍분교(폐교)

삼도접경공원

대궐길

마흘천-현정사-남대분교-주막거리

4.5㎞

(70분)

현정사(현각스님)

산촌마을


구간

별칭

코스안내

거리

볼거리

먹거리

쉴거리

9자락

보부상길

주먹거리-상신기마을-늦은맥이재

3.7㎞

(55분)

원시의 늪 자연경관

잣나무숲

화전민집터

방물길

늦은맥이재-생달마을-오전댐(에덴의동쪽)

3.5㎞

(50분)

내성천(낙동강)발원지

귀촌가옥마을

산머루주공장(에덴의동쪽)

보부상위령비


구간

별칭

코스안내

거리

볼거리

먹거리

쉴거리

10자락

장터길

오전댐-뒷뜰장터-봉화학예관

2.5㎞

(35분)

오전댐경관

산촌장터마을

봉화학예관(폐교활용)

소풍길

봉화학예관-땅골-죽터-방골-부석사

4.5㎞

(60)

죽터, 땅골마을

천년고찰 부석사


구간

별칭

코스안내

거리

볼거리

먹거리

쉴거리

11자락

과수원길

부석사-속두들-소백산예술촌-숲실-사그래이

6.0㎞

(90분)

과수원 풍경(사과꽃따기 등)

소백산예술촌(폐교활용)

마실길

사그래이-양지마-남절-모산

4.0㎞

(60분)

사그레이댐

오지마을

호반길

모산-단산지-좌석(시거리)

3.8㎞

(55분)

단산지(좌석댐)


구간

별칭

코스안내

거리

볼거리

먹거리

쉴거리

12자락

심마니길

시거리-자재기재-두레골

2.5㎞

(35분)

산막터

장안사

서낭당길

두레골(장안사)-점마

2.7㎞

(40분)

두레골서낭당

꼬두메마을

충절의길

점마-덕현-배점-배점분교(삼괴정)

2.8㎞

(40)

덕현서낭당

배순의대장간터

배순정려비